청소년 도서 문화 및 공유 커뮤니티 도서관_최지원 본인의 가치관이 뚜렷해지고 이를 함께 나누며 소통할 공간이 필요한 청소년들에게 서로의 관심사를 공유하고 공감하며 새로운 활력소를 얻어갈 수 있는 공유 커뮤니티의 장을 제공한다.
ENJOY A NEW LIFE_황정민
고령화 사회로 노인여가 시설 부족 현상과 수동적인 형태에 대해 불만이 있으며 이에 대해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게 아닌 능동적인 형태로 노인이 노인을 가르쳐주며 새롭고 재밌는 공간을 계획한다.
부산 역사체험 그림책 도서관 : DEMEMBER LIBRARY_김진영 점점 높아져가는 역사의 관심도에 비해 역사공부를 어려워하는 어린이를 위해 그림책을 통한 부산 역사 전시가 있는 도서관을 통해 공부하는 도서관이 아닌 놀면서 공부하는 도서관을 제안한다.
트윈세대의 전용 복합 문화공간_최강희 트윈세대는 그들만의 문화공간이 한정적이므로 결국 정적인 활동 시간을 보낼 수밖에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아이들이 활동적이고 자유로운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트윈세대의 전용 문화공간을 제공한다.
아이들의 발달을 위한 감각자극 놀이체험센터_정새롬
아이들의 성장 발달에 놀이는 꽤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놀이마루의 공간 안에 알파세대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오감 자극 놀이 체험 공간으로 재탄생시킨다.
생활 문화 거점 주민센터, mm HOUSE_안유진 자유롭게 이용하는 ‘생활문화거점’이자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주민커뮤니티공간’으로 일상 생활 속 문화활동을 통해 퇴색된 공통체 문화를 회복,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K-POP TRAVELING_황성진
세계인이 즐기는 K-POP 콘서트는 코로나로 인해 공연의 수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콘서트의 대체재로써 세계의 팬들이 구분없이 어울려 케이팝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시니어 세대 원예활동 및 소통공간_유진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시니어 세대의 소통의 부재와 고령화로 인해 증가된 여가시간을 여가활동과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_원예를 매개로 하여 시니어 세대들의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내는 공간.
Media Literacy Space for Young People_김다연 공기처럼 사용하는 미디어를 청소년들은 잘 알지 못하여 잘못된 정보를 올바른 정보로 착각한다. 그로 인해 바른 정보 찾는 법을 배우고, 정보를 탐색하며 기사를 소통하면서 만들면서 책임감을 길러주는 공간
청소년들의 성장을 위한 자기계발 및 치유공간_이지윤 어느 누구나 청소년 시기를 거쳐 현재의 내 자신이 된다. 사간이 빨리 흘러가지만 미래의 나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시기이다. 자기개발을 통해 진로를 정하고, 마음에 상처가 있는 자를 위해 치유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플레이 그라운드_백승민 새로운 성향을 가진 시니어 세대가 기존의 여가 생활 공간을 대신하여 문화적, 사회적, 교육적인 여가 생활을 할 수 있는 노인 여가 커뮤니티 복합 문화 플랫폼 공간이다.
자폐아동을 위한 감각발달 놀이 돌봄센터_임성현 치료와 배움의 시설이 부족한 자폐 아동들이 비슷한 자폐 아동들과의 생활과 감각 기관을 통한 치료와 놀이를 통해 인지 및 타인에 대한 이해도를 올려주고 여러 감각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MZ세대를 위한 인테리어 팝업 공간_김승주 지역사회의 자원인 노인을 활용하여 노인들이 직접 숙소와 다양한 컨텐츠 공간을 운영하며 관리하는 공간. 마을의 살아있는 역사인 노인들이 운영하는 공간을 통해 문화마을의 정체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시니어세대가 운영하는 복합 문화 공간_김태경 지역사회의 자원인 노인을 활용하여 노인들이 직접 숙소와 다양한 컨텐츠 공간을 운영하며 관리하는 공간. 마을의 살아있는 역사인 노인들이 운영하는 공간을 통해 문화마을의 정체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