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우
YOO JIN WOO

1998.06.17 _ Busan
pig2595@naver.com
동명대학교 _ 실내건축학과





Awards

2022_ 건축기사 
2022_ 건설안전기사 필기 

 




BACKGROUND

코로나 19의 장기화에 따른 시니어 세대의 소통의 부재와 
계속된 고령화로 인해 증가된 여기시간을 여가활동 및 
힐링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원예활동을 매개로 시니어 세대의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낼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였다.

MAIN TARGRT

고령화로 인해 시니어 세대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정작 시니어 세대를 위한 여가활동공간이 부족한 현실이다. 

은퇴 이후 시간적 여유가 비교적 많아진 
액티브 시니어들에게 
원예활동공간 및 활동을 통해 만들어진 부산물들을 판해하는 
등의 커뮤니티 공간을 제안한다.

SUB TARGET

원예활동은 손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뇌의 인지기능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된다. 균형감각 유지, 시선과 손의 협동능력 증가 등의 신체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서적 안정과 같은 심리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SITE

부산에서 비교적 고령인구가 많은 기장으로 선정하였고, 고령층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인 기장시장에 위치한 제1 공영주차장으로 선정하였다.

 주변의 교통이 편리하고 접근성이 좋아 상권이 형성되어있다.


SPACE PROGRAM

1. 원예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여러 식물들을 심고, 관리할 수 있는 공간

2. 원예와 관련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공간

3. 원예에 필요한 물품들과 직접 길러낸 식물, 열매 등을 판매할 수 있는 공간

4. 이용객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공간

CONCEPT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인해 특히 시니어 세대에서 소통이 단절되었고, 노인들을 이어주는 공간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열매를 맺기까지의 과정을 시니어 세대의 인생에 빗대어, 공간에 연출하였다.

KEYWORDS

열매가 열리는 과정을 Layering, Blooming, Bearing 총 3가지 단계로 구분하였고, 이를 단순화하여 공간에 적용시켰다.
꽃봉오리의 형상에서 겹쳐진 모습, 꽃이 활짝 핀 형상, 열매가 가지와 이어져있는 모습을 공간에 적용하였다.

PLANING

PLAN _ SCALE : N.S

왼쪽편에 스마트 온실을 중심으로 원예활동공간이 위치하였고, 중앙부에 판매공간과 커뮤니티 공간을 결합시켜, 차를 내려마시며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연출하였다.
오른편에는 원예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위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