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정민
HWANG JEONG MIN

1998.10.26 _ Busan
make1026@daum.net
동명대학교 _ 실내건축학과



Awards

2016_ 건축도장기능사 

2018_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2020_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입선
2020_ 한국공간디자인대전 장려상

2021_ 실내건축기사  
2021_ 산업안전기사  

2022_ 건설안전기사


 




BACKGROUND

고령화 사회가 급속도로 진행함으로써 노인여가 시설 부족 현상으로 노인들의 여가 활동 비율이 현저히 낮은 형태이며, 노인의 경제적 수준, 건강 수준 향상 으로 욕구도 다양해지면서 기존 여가 시설의 수동적인 형태의 운영에 대해 불만이 있으며 ,

이에 대해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게 아닌 능동적인 형태로 노인이 노인을 가르쳐주며 새롭고 재밌는 여가생활·인식 커뮤니티 공간을 계획한다.


TARGET

위 통계들처럼 실버세대와 액티브 시니어들에게 즐거운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한 현실입니다.

SITE

동래구에 노인여가 복지시설이 하나도 없으며 
이 위치는 명륜동 온천동 사직동의 경계에 걸쳐 있으며 
사이트 특성상 4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이 가능하고 교통시설과 접근성이 우수하여 노인들이 쉽게 접근하며 이용할 수 있어 선택하였다.

SPACE PROGRAM

1F: 노인 전문 도서관으로 이용자들의 접근성이 쉬운 1층에 위치해 있으며 노인용 엘리베이터와 문턱이 없는 공간, 자율식 제도를 통한 업악되지 않은 자유로운 개방식 교육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2F: 노인들의 기본적인 여가활동을 도와 주며 이들의 문화를 온전히 즐기게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며 노인의 여가생활을 보장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노인들이 함께 어울리며 다양한 기회를 누리는 문화 공간이다

3F: 시대의 변화에 따라 노인들의 여가생활도 변화하여 기존 여가생활과 다른 새로운 여가생활을 마련하여, 노인의 새로운 도전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처음 접하는 여가생활 이므로 모든 노인들이 쉽게 배울 수 있으며, 잘 어울리는 새로운 여가문화 생활을 누리는 공간이다.

4F: 위로도 받고 새로운 도전에 힘을 키우며, 새롭고 실용적인 노인여가 복지시설을 제공하는 여가 배움터 이다. 세대와 지역에 따른 전문적이 고 체계적인 맞춤 프로그램을 통하여 인식개선과 여가활동의 다양성, 가능성을 보여준다. 제한적이고 어려운 부분이 분명히 있으나 교육을 통해 노인들의 여가생활에 대한 새로운 도전을 응원한다.

CONCEPT & DESIGN PROCESS

AFFORDANCE (방법을 설명 하지 않아도 사용자 스스로가 디자인 자체만으로 특정행위를 하도록 만드는 디자인.)

어포던스의 디자인을 각층의 공간 성격에 따라 디자인하여 시니어들이 설명 없이도 어떻게 행동을 해야 할지 암시를 해주며 자유롭게 이용하는 여가 공간을 계획을 한다.
노인 상호 간의 영향과 도움, 교류, 공유 등이 공간에 적절하게 스며들며 실버세대와 액티브 시니어의 행동 특성을 분류하여 공간의 성격을 결정하고, 인터랙션 디자인의 요소인 어포던스를 공간 디자인에 사용하여 시니어들이 새로운 여가에 그들만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여가생활·인식 커뮤니티 공간을 계획한다.

유기적 어포던스(직선): 기존에 개방적이지 못한 디자인을 유기적인 디자인을 적용시켜 자연에서 얻은 다양한 선들로 패턴을 만들고, 창문을 통창으로 구성하여 넒은 조망권과 일조권을 확보할 수 있게 디자인을 하였다

유기적 어포던스 (곡선): 자연에서 얻은 곡선과 재질을 바닥 패턴과 천정 디자인에 적용시키고 자유로움을 주는 유기적인 동선을 배치하여 자연스럽게 공간으로 들 어오는 작용을 발생시키는 공간을 구성한다.

구심력 어포던스: 원의 중심으로 나아가려는 힘을 공간 성격에 맞게 구성하여 하나의 기능이 아닌 가변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 공간을 구성한다.

중첩적 어포던스: 공간을 서로 겹치도록 구성하여 개방 시 자연스러움 만남을 유도하고 바닥 패턴과 천정 구조물 또한 겹치게 형성하여 자연스러운 만남의 공간을 구성한다.

방사형 어포던스: 중앙의 한 점에서 사방으로 뻗어 나가는 모양을 공간에 적용시켜 지식과 정보 등이 시니어들에게 전해지도록 유도하는 배움의 공간을 구성한다.


PLANING

1F PLAN & ELEVATION _ SCALE : N.S

1층 북 카페 공간에 적용하여 기존에 딱딱한 공간의 이미지를 자연에서 얻은 소재나 개념을 응용하여 곡선과 함께 바닥 패턴 이미지를 적용하고 자유로움을 주는 유기적인 동선을 계획하여 자연스럽게 공간 안으로 들어오는 작용을 발생시키는 공간을 연출하고 바닥 패턴의 재질을 구분시켜 공간의 느낌을 다양하게 주도록 계획하였다.

2F PLAN & ELEVATION _ SCALE : N.S

구심력 어포던스를 2층 신체적 체험 공간에 적용시켜 말 뜻처럼 원의 중심으로 나아가려는 힘을 프로그램의 성격과 맞게 공간 구성을 하여 각종 만든 공예품이나 그린 그림 들을 지  나가는 복도에 전시하여 전시물의 위치하는 곳에 따라 보기 편하도록 자연스럽게 변형시켜 시니어들의 행위 유발을 하게 만들고, 공간 중심인 편의 시설에 용도에 따라 독서. 판매. 전시공간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계획하였다.

3F PLAN & ELEVATION _ SCALE : N.S

3층 공간에 중첩적 어포던스를 적용시켜 공간을 서로 겹치도록 구성하고 벤다이어그램 처럼 원과 원이 만나서 겹치는 지점에 공간을 최대한 활용 하기 위해 원형의 VR 체험실을 만들었으며 바닥에 패턴과 천정의 조명 구조물 또한 서로 겹치게 형성하고 실들의 문을 상황에 따라 개방시켜 시니어들이 서로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였다.

4F PLAN & ELEVATION _ SCALE : N.S

4층 공간에 방사형 어포던스를 적용시켜 말 뜻처럼 중앙의 한 점에서 사방으로 뻗어 나간 모양을 공간에 적용시키며, 2층에 적용한 구심력 어포던스와 상당히 유사하게 느낄 수도 있지만, 공간 중심에 뻗어 나간 지식과 정보 등이 시니어들에게 전해져 새로운 여가를 하기 위한 변화를 이끄러내는 공간을 계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