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급증한 수치에 비하면 인테리어를 배우고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은 별로 없는 걸로 없는걸로 나타났다.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지만 정보가 없어 어려워 하는 사람들을
위한 팝업 공간을 형성하여 만족스러운 실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SITE & TARGET
부산에서 유동인구가 많은 쪽에 속하는 곳은 부산진구이다.
특히나 사이트 위치인 부산 서면은 MZ세대가 가장 많이 유동하는 공간이며, 1인 주거 공간 또한 많아 타겟을 위한 장소라 생각이 들어 이 장소를 선정하게 되었다.
SPACE PROGRAM
인테리어에 한층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볼 것이다. 먼저 어른들의 놀이터 존인 가구 디피공간, 쇼룸공간, 정보 탐색 공간으로 형성하여 재미를 더해줄 것이며 공유의 가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개방적인 공간으로 재료 DP공간, 상담대기 및 상담공간을 현성한다. 마지막으로는 체험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인테리어를 알아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CONCEPT
ADUIT PLAY 라는 주제에
알파벳에 Adaptability(적응성), Dull tone(덜 톤), Uncomplicated(단순함), Light tone(라이트 톤), Tween(사이), Plants(식물들), Lifesttle(지속가능한), Angular(모서리가 없는), Youth(젊은)으로 의미를 더해 공간을 더욱 더 재밌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PLANING
PLAN _ SCALE : N.S
각 공간마다 컨셉을 적용하여 공간의 구성을 재미있게 짜보았고 주변에서 자주 보던 쇼룸이 아닌 직접 체험도 해볼수 있으며 만져볼 수도 있도록 하여 복합적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ELEVATION - A
ELEVATION - B
PERSPECTIVE _ 재질 디피공간
실제로 인테리어를 가상으로 체험 해보는 VR, AR체험을 하기 전에 재질들의 이름과 종류를 익힐 수 있는 공간이다. 이 공간은 인테리어에 대해 더 가까워지며 익혀가는 공간인 것 만큼 전반적으로 화이트 & 우드톤을 사용하여 편안하고 부드러운 이미지가 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다. 또한 재질이나 색상 재료들을 너무 고정적으로 DP를 하지 않고 자유롭게 만지고 볼 수 있도록 재료들을 DP 해두었다.
좌측 벽면에는 재질들의 여러가지 정보들을 얻어갈 수 있는 샘플북을 배치해두었으며 궁금하거나 흥미가 가는 재질을 스스로 찾아 정보를 얻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PERSPECTIVE _ 스터디 공간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고 공부를 하길 원하는 사람들의 공간으롤 쇼룸을 둘러보고 더 공부하고 싶은 내용이나 검색하고 싶은 내용이 있을 떄 검색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다양한 관련 도서와 잡지, 키오스크까지 갖춘 이 공간에서 인테리어에 한 층 더 가까워 질 수 있도록 한다.
PERSPECTIVE _ 상담 공간
인테라어 제품에 대한 궁금증이나 상품 관련 질문을 간단한 상담을 통하여 알아갈 수 있는 공간이다.
상담이라는 것 자체에 무게가 있다고 생각하여 개방형 공간으로 구성해 보다 가볍게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였다.
또한 난색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따뜻한 이미지도 더해주었다.
PERSPECTIVE _ 가구 디피 공간
다양한 가구들을 전시하고 브랜드의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는 공간으로 인기 가구는 따로 더 잘보이게 전시하여 인테리어 입문자들에게 가구 트렌드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