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EAM OF BECOMING A UTOPIA 유토피아를 꿈꾸다


휴토피아, 약속의 움_변예린
혼자만의 시간이 길어지며 점점 견고해지는 사회의 벽을 뚫지 모하고 우울증을 앓아가는 사회 청년들에게 자연 속에 속해있다는 그룹감을 형성시켜주는 공간을 제공한다.

작가를 위한 아트센터_김태우
미디어는 놀이이다. 문화는 소통과 경험으로 생성된다. 새로운 미디어는 변화와 발전을 가져오고 그것은 새로운 문화로서 우리의 새로운 삶의 모습이된다. 새로운 문화의 등장에 앞에 그 문화를 경험하고 소비하고 창작 할 수 있는 소통하는 공간을 제안한다.

Dreaming Children Fairy Tale themememd Lirary_하지원

학생과 어른들과 똑같이 똑같은 책상과 의자에 앉아 책을 보고 공부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스스로 학습 습관을 만들고 정해진 생각과 지식이 아닌 자신만을 개성을 깨어나게 할수있는 어린이 도서관을 제안한다.

RE:LIFE COMMUNICATION CENTER_김령은

프로그램을 배우고 공유하는 소통을 통해 말벗과 정을 이루어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다문화 라이프 커뮤니케이션 지원 센터이다.

책과 함께하는 즐김, 낙서(樂書)_정은재
매년 독서율의 하락과 함께 청년층의 어휘력, 문해력 또한 하향되고 있다. 청년층을 위한, 조용한 독서공간이란 탈을 벗어던진 새로운 이색 독서 공간을 제시한다.

미래세대를 위한 DIGITAL PLAY IN LIBRARY_강범준

오프라인 매장은 현재도, 미래에도 여전히 중요한 채널이다. 오프라인만의 고유한 가치와 의미를 다시 생각해 소셜 커넥션을 강조하는 경험적 소비공간으로 만든다.

공간관계의 감각을 일깨우다_김종수

공간지각은 사물의 위치 및 거리에 관한 능력에 대하여 태어날 때부터 확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아이일 때부터 점진적으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공간지각을 놀이로 아이들에게 유의미한 가치를 만든다.

Color Of The Day : 컬러를 활용한 전시 체험 공간_최영호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사람들의 스트레스는 증가하고 내면의 색은 무채색으로 물들어가고 있다. 현대인들을 위해 자신만의 컬러를 찾고 나만의 풍경이 되는 작품을 만드는 공간을 제안한다.

가출 청소년의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유센터_박자룡
청소년의 장기화 되가는 가출 문제를 개선하고자 가족관계와 신체적, 정신적 심리를 치유할 수 있고, 높은 만족도와 기대효과를 가진 미술 치유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는 부산의 가족 미술 치유센터를 제안한다.

베트남 문화체험 카페 공간_쩐티화이짱

베트남의 지역마다 커피 문화가 다르고 커피 종류도 나름대로 특성이 가지고 있다. 다양한 문화 차이 때문에 베트남의 지역 문화를 체험하면서 특별한 커피, 특별한 여행 분위기를 느껴 주는 공간

인디펜던트 크리에이티브 워커들을 위한 워킹 공간_이성혁
부산에서 거주하는 인디펜던트 워커들과 방문객을 만족시킬수 있는 업무환경과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을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부산의 워킹 스페이스 공간으로 연출하였다.

실내건축분야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한 에듀 스테이케이션_김성환
코로나19의 여파로 젊은 층의 취업률 하락과 취업욕구저하가 심해지고 있는 요즘 집 근처에서 휴식과 여가를 보내며 교육을 들을 수 있는 복합 창업 커뮤니티 센터를 제공한다.

Double nature shelter_이효중

도시 속에서 폐쇄적인 시야를 간직한 채 살아가는 지친 시민들에게 자연을 매개로 한 휴식기반 유희적 공간을 기획한다. 또한, 사색 가능한 공간 속에서 이용객들이 자신을 되찾고, 궁극적 행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예술 문화 직업 체험관_최은혁

예술의 형태는 디지털 예술로 변화하고 있고 디지털 예술 분야가 예술계의 미래 유망 직업으로 손 꼽히고 있다.이렇게 커져가는 무대인 디지털 예술을 경험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휴토피아, 약속의 움_변예린
혼자만의 시간이 길어지며 점점 견고해지는 사회의 벽을 뚫지 모하고 우울증을 앓아가는 사회 청년들에게 자연 속에 속해있다는 그룹감을 형성시켜주는 공간을 제공한다.

작가를 위한 아트센터_김태우
미디어는 놀이이다. 문화는 소통과 경험으로 생성된다. 새로운 미디어는 변화와 발전을 가져오고 그것은 새로운 문화로서 우리의 새로운 삶의 모습이된다. 새로운 문화의 등장에 앞에 그 문화를 경험하고 소비하고 창작 할 수 있는 소통하는 공간을 제안한다.

Dreaming Children Fairy Tale themememd Lirary_하지원

학생과 어른들과 똑같이 똑같은 책상과 의자에 앉아 책을 보고 공부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스스로 학습 습관을 만들고 정해진 생각과 지식이 아닌 자신만을 개성을 깨어나게 할수있는 어린이 도서관을 제안한다.

RE:LIFE COMMUNICATION CENTER_김령은

프로그램을 배우고 공유하는 소통을 통해 말벗과 정을 이루어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다문화 라이프 커뮤니케이션 지원 센터이다.

책과 함께하는 즐김, 낙서(樂書)_정은재
매년 독서율의 하락과 함께 청년층의 어휘력, 문해력 또한 하향되고 있다. 청년층을 위한, 조용한 독서공간이란 탈을 벗어던진 새로운 이색 독서 공간을 제시한다.

미래세대를 위한 DIGITAL PLAY IN LIBRARY_강범준

오프라인 매장은 현재도, 미래에도 여전히 중요한 채널이다. 오프라인만의 고유한 가치와 의미를 다시 생각해 소셜 커넥션을 강조하는 경험적 소비공간으로 만든다.

공간관계의 감각을 일깨우다_김종수

공간지각은 사물의 위치 및 거리에 관한 능력에 대하여 태어날 때부터 확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아이일 때부터 점진적으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공간지각을 놀이로 아이들에게 유의미한 가치를 만든다.

Color Of The Day : 컬러를 활용한 전시 체험 공간_최영호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사람들의 스트레스는 증가하고 내면의 색은 무채색으로 물들어가고 있다. 현대인들을 위해 자신만의 컬러를 찾고 나만의 풍경이 되는 작품을 만드는 공간을 제안한다.

가출 청소년의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유센터_박자룡
청소년의 장기화 되가는 가출 문제를 개선하고자 가족관계와 신체적, 정신적 심리를 치유할 수 있고, 높은 만족도와 기대효과를 가진 미술 치유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는 부산의 가족 미술 치유센터를 제안한다.

베트남 문화체험 카페 공간_쩐티화이짱

베트남의 지역마다 커피 문화가 다르고 커피 종류도 나름대로 특성이 가지고 있다. 다양한 문화 차이 때문에 베트남의 지역 문화를 체험하면서 특별한 커피, 특별한 여행 분위기를 느껴 주는 공간

인디펜던트 크리에이티브 워커들을 위한 워킹 공간_이성혁
부산에서 거주하는 인디펜던트 워커들과 방문객을 만족시킬수 있는 업무환경과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을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부산의 워킹 스페이스 공간으로 연출하였다.

실내건축분야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한 에듀 스테이케이션_김성환
코로나19의 여파로 젊은 층의 취업률 하락과 취업욕구저하가 심해지고 있는 요즘 집 근처에서 휴식과 여가를 보내며 교육을 들을 수 있는 복합 창업 커뮤니티 센터를 제공한다.

Double nature shelter_이효중

도시 속에서 폐쇄적인 시야를 간직한 채 살아가는 지친 시민들에게 자연을 매개로 한 휴식기반 유희적 공간을 기획한다. 또한, 사색 가능한 공간 속에서 이용객들이 자신을 되찾고, 궁극적 행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예술 문화 직업 체험관_최은혁

예술의 형태는 디지털 예술로 변화하고 있고 디지털 예술 분야가 예술계의 미래 유망 직업으로 손 꼽히고 있다.이렇게 커져가는 무대인 디지털 예술을 경험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