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 개    -

가출 청소년의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가출 청소년의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유센터

청소년의 장기화 되가는 가출 문제를 개선하고자 가족관계와 신체적, 정신적 심리를 치유할 수 있고, 
높은 만족도와 기대효과를 가진 미술 치유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는 부산의 가족 미술 치유센터를 제안한다.


박자룡
PARK JA RYONG

1998.11.20 _ BUSAN
jadragon98@naver.com
동명대학교 _ 실내건축학과



Awards

2020 _ GTQ 1급 취득
2021 _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자격증 취득
2021 _ 한국공간디자인대전 특별상
2022 _ 실내건축기사 자격증 취득
 
BACKGROUND

청소년 가출 문제는 꾸준히 증가 중이며, 부산지역의 청소년 복지시설을 찾는 가출청소년이 증가 중이다. 더하여 부산엔 시설과 보호공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여러 문제들로 일어나는 청소년들의 가출 문제를 개선하고자 높은 만족도와 기대효과를 가진 미술 치유를 기반으로 한 가족 미술 치유센터를 제안한다.



TARGET

장기 가출로 이어질 수 있는 단순 가출을 시도하는 청소년들을 메인 대상으로 잡고 이러한 자녀의 두고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부모들을 서브 대상으로 잡아 서로 간의 의사소통과 체험활동을 통해 가까운 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공간을 계획한다.



SITE

현재 부산 청소년종합지원센터는 2006년에 지어진 구축건물로 주변에 큰 도로와 교통시설, 교육시설, 주거 또는 문화시설이 분포되어 있으며 시스템이 잘 갖춰진 1층과 달리 일반 상담실과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2층을 리모델링하고자 한다. 



SPACEPROGRAM

미술 치유센터의 가장 필요한 의사소통, 체험활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크게 어울림 이야기 광장, 힐링 아트 스튜디오, 드림 쉼터 스페이스를 공간에 계획한다.



CONCEPT

MULTI SENSORY AFFORDANCE
치유적 환경과 다 감각자극의 상호 관계를 보인 치유 공간은 다양한 정서적 고통과 갈등 등의 회복에 시너지 효과를 준다고 알려져 있다 
치유센터 공간에 긍정적인 이바지를 할 수 있는 감각과 지각의 확장, 시간의 반복적 재배열, 상호 관계적 지각의 감각 특성을 분석해 공간 형태와 연출 방향을 제시한다.



CONCEPTPROCESS



PLAN_SCALE : N.S

컨셉을 반영해 각 공간의 기능을 합쳐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크게 체험 전시, 상담 공간,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서가 공간, 관리자의 보호 아래 사회적 유대감을 가질 수 있는 공간, 보호자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관계 향상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CEILING PLAN_SCALE : N.S



ELEVATION A - A'_SCALE : N.S



ELEVATION B - B'_SCALE : 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