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AI-ICT CULTURE CONTENTS 아이디어 공모전 특별상 2021 _ ACU AUTO CAD 자격증 취득
BACKGROUND
우리는 가속화 되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살고 있다. 미래를 이끌어 갈 어린이 시설의 수요는 날이 갈수록 증가 하고 있지만 부산의 어린이 도서관 시설은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그에 맞는 교육적 컨텐츠 중심의 디지털 어린이 도서관을 계획한다.
TARGET
메인타겟은 디지털 컨텐츠에 익숙한 알파세대, 서브타겟은 Z세대 청소년이다. 디지털 시대에 자고 나란 세대인 이른바 '디지털 네이티브' 학생들도 인터넷 접속, 디지털 기기 사용, 플랫폼 활용, 학습공간 및 환경 등의 격차로 혼란을 겪고 있다.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 디지털을 잘 쓰고, 잘 다루는 '디지털 리터리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SITE
부산시 부전동의 부전도서관은 1963년 개관 이후 59년이 지난 현재 시설이 많이 노후되어 리모델링이 필요한 상황이다. 주변에 초등학교가 많이 분포 되어 있지만 가까운 곳에 공공어린이 도서관은 찾기 힘들며, 교통시설이 근접해 접근성이 좋다.
CONCEPT
BEHAVIOR CHARACTERISTICS
치어린이 도서관에서 대부분 이용자들은 능동적인 조작을 통해 획일적이고 무미건조한 이용행위를 벗어나고자 하며 이러한 행동중심의 능동성은 정서와 애착의 여러 조건 중 하나이며 공간적 측면에서 가장 강력한 체험적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 발달과 행태특성과 공간의 요소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어린이 도서관 공간을 계획한다.
SPACEPROGRAM
CONCEPT KEYWORD
크게 신체의 발달, 정서의 발달, 인지의 발달, 사회성의 발달 4가지로 나누고 각 키워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