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SIRE FOR COMFORT_편안함에 대한 욕망

01_강법정.jpg


노약자들에게 더 나은 삶의 방향을 알려주는 데이케어센터_강법정

의학기술의 계속적인 발전으로 우리는 전 시대의 사람들보다 훨씬 더 오랜 기간 동안 더욱 건강하게 노후의 삶을 즐기게 되었다. 기존에 있던 주간 보호 시설에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고안한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02_김민수.jpg


도심 속 여유를 위한 건강 복합 카페__김민수

사회 생활을 하며 본인을 돌아볼 시간과 취미 및 문화생활을 즐길 수 없었던 사람들에게 건강생활과 취미를 동시에 즐길 수 있고, 본인의 가치를 존중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건강 복합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03_김민화.jpg


지속가능한 건강관리 복합문화공간_김민화

Healthy Pleasure, 건강관리의 지속과 증거움을 중심으로 관심사가 생겨나는 요즘,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부터 성향까지 찾아가며 자신에게 맞는 건강트랜드를 알아보고 일상까지 지속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을 제안한다.
04_김세빈.jpg


돌봄 시설 확충을 위한 공공형 키움센터_김세빈

온라인 놀이 문화에 익숙해져있는 아이들에게 몸을 쓰고 감각을 느끼며, 나이대에 맞는 다양한 오프라인 체험을 통해 올바를 성장을 도와주고, 돌봄이 필요한 부부에게 현실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엄마와 아이가 행복해질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05_김유정.jpg


소방 공무원을 위한 PTSD 치유공간_김유정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재난 현장에서의 가장 처음, 마지막 순간, 1%의 희망도 놓치지 않겠다는 사명감으로 국민의 손을 잡아주는 소방관분들에게 육체적,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나 '나'라는 인간의 면에서 안전한 삶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공간을 제안한다.
06_김지연.jpg


디지털 노마드 족을 위한 워케이션 공간_김지연

부산의 청년 인구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무형태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는 '워케이션'을 활용하여 부산의 특색을 소개하는 공간을 담아 부산의 발전에 대한 긍정적인 방향 제시와  더 나아가 부산의 청년 인구 증가에 대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07_박세란.jpg


어촌 마을을 담은 공간_박세란

햇빛이 내리쬐는 바다의 풍경과 파도 소리, 짭잘한 바다 내음. 어촌 마을의 정서와 감정이 깃들어 있는 공간에서의 새로운 경험들, 가슴 설레이는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과 바다를 담은 체험마을의 활동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는 기장 어촌 체험 휴양 마을을 제안하고자 한다.
08_서영찬.jpg


디지털 예술 문화 콘텐츠 창업 지원센터_서영찬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과 여러 첨단 기술이 발달하고 있는 가운데, 예술 시장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시대에 변화하여 다양한 첨단 기술이 오늘날 많이 보편화 되고 있다. 1인 창업을 꿈꾸는 세대들에게 다양한 창업 콘텐츠를 통해 소개하는 디지털 예술 문화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09_손지현.jpg


부산 소극장 HUB 문화공간_손지현

본디 극이라 함은 인간이 꿈꾸던 일을 그리고 대신하여 펼쳐 전달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관객에게 메세지를 전하며 소통하는 것인데  이러한 극을 가장 가까이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극장을 활용하여 각각 개인의 미충족을 대신하여 찾고 채워주는 극장 문화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여유림_21.png


반려동물 공공 케어센터_여유림

반려가구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반려동물과 함께할 수 있는 공간은 많이 부족하다. 반려인과 비 반려인 그리고 앞으로 동물들과 살아가길 바라는 예비 반려인들이 함께하는 공공의 성격을 가진 종합 동물 케어 센터를 계획하였다.
11_장뢰.jpg


신개념 커피 문화 체험 상업공간_장뢰

원산지, 품질, 제조 방법에 따라 커피의 맛은 변한다. '저장', '다양화','수제'의 세 가지 요소를 결합하여 새로운 커피 모델을 구성하고자 한다. 커피라는 공통점을 목적으로 공간에 목적성을 부여하고 공간의 다양화를 증가시켜, 더욱 풍성한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제-2_대지_1(0001).png


MAKER GROUND_차유나

이 MAKER GROUND에서는 어려서부터 주체로 살아가는 욕구를 해소시키기위해 열린 형태의 스페이스를 제공한다. 열린 형태의 창작공간(MAKER SPACE)과 놀이 공간 (PLAY GROUND)을
더해 아동이 주체가 되어 맘껏 무한의 창의성을 펼칠 수 있는 MAKER GROUND를 제안한다.

13_하장수.jpg


알파세대를 위한 미래형 IB 교육센터_하장수

현재 대한민국 교육의 문제점은 사람들의 충족되지 않는 욕구를 고려하지 않고, 일반화된 교육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IB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현재와 미래 교육의 경계를 흐리게 하는  창의적이고 개별화된 교육 공간을 기획하였다.
14_허승현.jpg


A세대의 웰빙 라이프를 위한 PLAY IN GROUND_허승현

단순히 건강에만 중점을 두었던 웰빙을 넘어, 정신과 육체의 건강은 물론 진정한 삶의 행복을 윈하는 생활방식으로 각 세대 간의 교육과 정보 공유를 통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PLAY IN GROUND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