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점점 중요해지며, 교육 과정에 AI 교육이 필요하다. 기술적인 역량과 창의적인 사고,문제해 결 능력등을 강조할 수 있는 교육방식이 발전되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나간다
_____
액티브 시니어 웰라이프 센터_최미영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지역이 발전되지 못한 원인이 인구와 자본과 교육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정책으로 인하여 수도권과 지방의 빈부차이가 너무 심하기 때문에 그 경계를 허물기 위해서 향후 30년간 확대될 소비생활의 주도권을 잡을 활동적이면서 적극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 액티브 시니어들의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공간을 구획하여 지역을 떠나지 않고 정착하는 것에 도움이 되고자 시니어들이 원하는 공간을 분석하여 꼭 필요한 공간만을 만들어서 지역 경제에 발전에 기여하고자 공간을 디자인 하다.
_____
3D 프린팅 창업 인큐베이팅센터 _ 3D기술로 보는 세계 _이장현
3D프린팅 창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지식과 경험의 부족으로 접근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그들에게 전문가들의 현실적인 조언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 공간은 3D프린팅 관련 창업을 희망하는 스타트업 기업들이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것이다.
_____
지역 내 안정된 일자리와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 인턴십 지원 센터 _
황아영
지역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로 이동하면서 지방의 인구가 줄어드는 문제는 '지방 소멸'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안정적인 일자리와 성장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합 센터의 설립이 필요한다. 이 센터는 청년 인턴십을 포함한 다양한 직업 훈련과 고용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미래를 계획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안정된 일자리 제공과 성장 기회를 통해 청년 인구의 지역 유입과 정착을 촉진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 사회가 지속적으로 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_____
부산 로컬 지원 사업을 활용한 로컬 브랜딩 창업 지원 플랫폼_
이연화
부산의 지원 정책에 대해 미처 알지 못한 채 탈부산 행렬로 갈수록 부산의 청년들이 떠나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역 사회 간의 상호작용과 커뮤니티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구성하여, 하나의 사회를 만들어 이어나가 회복을 시켜주는 플랫폼이 되는 공간이 되도록 한다.
_____
외국인 복합 파트너스 _방규빈
외국인 들이 위 센터에서 한국문화를 공유하고 소통하며 한국의 문화를 배우며 그에 기반하여 한국에서의 생활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높여 한국에서의 또 다른 삶을 시작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공간이다.
_____
신(新)노년 공동체활동을 위한 문화교육센터 _양세현
제2의 삶을 원하는 신노년층들에게 새로운 교육과 문화 체험 그리고 공동체활동을 통해 그들을 고무시키고 성장시켜 건강한 몸과 정신을 영유하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 문화 복합공간이다. 공동체 활동에 중점을 둔 공간으로 부산의 시니어들의 역량강화와 사회기여를 지원하는 공간으로서 기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