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지는 경계

BOUNDARY OF BLUR
01._유정희_메인_투시도(표지용)_.png.png
​_____
Fusion Odyssey : 인간과 기계의 융합을 향한 혁신적인 여정_
유정희

인공지능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점점 중요해지며, 교육 과정에 AI 교육이 필요하다. 기술적인 역량과 창의적인 사고,문제해 결 능력등을 강조할 수 있는 교육방식이 발전되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나간다

01.최미영_메인_투시도_.png
​_____
액티브 시니어 웰라이프 센터_최미영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지역이 발전되지 못한 원인이 인구와 자본과 교육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정책으로 인하여 수도권과 지방의 빈부차이가 너무 심하기 때문에 그 경계를 허물기 위해서 향후 30년간 확대될 소비생활의 주도권을 잡을  활동적이면서 적극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 액티브 시니어들의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공간을 구획하여 지역을 떠나지 않고 정착하는 것에 도움이 되고자 시니어들이 원하는 공간을 분석하여 꼭 필요한 공간만을 만들어서 지역 경제에 발전에 기여하고자 공간을 디자인 하다. 

01.이장현_메인투시도_.png
​_____
3D 프린팅 창업 인큐베이팅센터 _ 3D기술로 보는 세계 _이장현

3D프린팅 창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지식과 경험의 부족으로 접근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그들에게 전문가들의 현실적인 조언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 공간은 3D프린팅 관련 창업을 희망하는 스타트업 기업들이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것이다.
01.황아영_메인투시도(표지용)_.jpg
​_____
지역 내 안정된 일자리와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 인턴십 지원 센터 _
황아영

지역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로 이동하면서 지방의 인구가 줄어드는 문제는 '지방 소멸'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안정적인 일자리와 성장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합 센터의 설립이 필요한다. 이 센터는 청년 인턴십을 포함한 다양한 직업 훈련과 고용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미래를 계획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안정된 일자리 제공과 성장 기회를 통해 청년 인구의 지역 유입과 정착을 촉진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 사회가 지속적으로 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01._이연화_메인투시도(표지용)_.jpg
​_____
부산 로컬 지원 사업을 활용한 로컬 브랜딩 창업 지원 플랫폼_
이연화

부산의 지원 정책에 대해 미처 알지 못한 채 탈부산 행렬로 갈수록 부산의 청년들이 떠나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역 사회 간의 상호작용과 커뮤니티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구성하여, 하나의 사회를 만들어 이어나가 회복을 시켜주는 플랫폼이 되는 공간이 되도록 한다.
01._방규빈_메인투시도_.png
​_____
외국인 복합 파트너스 _방규빈

외국인 들이 위 센터에서 한국문화를 공유하고 소통하며 한국의 문화를 배우며 그에 기반하여 한국에서의 생활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높여 한국에서의 또 다른 삶을 시작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공간이다.
01.양세현_메인_투시도(표지용)_.jpg
​_____
신(新)노년 공동체활동을 위한 문화교육센터 _양세현

제2의 삶을 원하는 신노년층들에게 새로운 교육과 문화 체험 그리고 공동체활동을 통해 그들을 고무시키고 성장시켜 건강한 몸과 정신을 영유하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 문화 복합공간이다. 공동체 활동에 중점을 둔 공간으로 부산의 시니어들의 역량강화와 사회기여를 지원하는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서브4.jpg
​_____
청년예술가들을 위한 지역재생 쉼터  _장은희

제2의 도시라는 이름을 지닌 부산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떠나는 장소가 되어버렸다. 부산의 생기 있고
사람다움이 느껴지는 지역사회의 모습을 되찾아가기
위해 청년 예술가들의 다양한 상상력과 지역주민의 고유문화
예술을 통해 지역이 재생되고 발전돼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