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ggle navigation
Tongmyeong University
홈
포트폴리오
소개
프로필
수상경력
활동이력
문의
장명인
JANG MYEONG IN
auddls821@naver.com
동명대학교_실내건축학과
Awards
2020 _ ACU AUTO CAD 자격증 취득
2021 _ ACA illustrator 2020 자격증 취득
2022 _ 인테르니 공간 디자인 공모전 특선
2022 _ DGID 실내건축디자인대전 입선
2023 _ 실내건축기사 필기 합격
BACKGROUND
기존의 공공도서관으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연력층이 디지털 비롯한 다양한 체험 활동이나 테마 공간들을 두어 좀 더 다양하고 창조적인 활동을 즐길 수 있으며
독서습관을 기를 수 있는 엔터테이먼트적인 공간을 설계해보려한다.
TARGET
MAIN
- 청소년층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장 활발한 독서량을 가진 초등학생을 제외한 중1~고3에 해당하는 청소년기인 중고등학생
SUB
- 알파세대
정규 교육시간외의 시간에서 독서나 문화 활동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는 세대
SITE
위치
: 부산 동래구 명안로 46번길 35 (명장동 611-4)
기존의 공공도서관으로 기능을 더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지하철과 버스정류장이 많이 분포해있고 접근성이 용이하다.
SPACE PROGRAM
D
ailybrary
'일상 밖의 설레임'을 키워드로 도서관을 방문 하였을 때 일상과 비슷한듯하면서도 또 다른 느낌을 주는, 도서관인듯 하면서도 도서관이 아닌듯한 느낌을 주어 설레임을 유발하는 공간
W
ordbrary
'뜻 밖의 개발'을 키워드로 분기마다 다른 주제의 전시를 선보이며 그 와 관련된 도서를 함께 큐레이션 하여 전시 주제에 대한 흥미를 이끄며 주제와 관련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공간
S
tylebrary
'이끄는 재미'를 키워드로 자신만의 문학적 감성과 취향을 찾을 수 있으며 국내외 패션과 미술, 음악, 문학 잡지등을 장르별 연도순으로 배치하여 예술과 창작을 위한 트랜드를 빠르게 캐치할 수 있는 공간
L
eavebrary
'깨닫는 성취감'을 키워드로 여행, 역사, 철학, 과학 등의 도서를 각 나라별로 묶어 해당 나라의 문화와 역사, 에세이, 관련 물품 등을 함께 큐레이션하여 작은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공간
THEME
'경험을 읽다'
노후 공공 도서관의 미래지향적 탈바꿈
평생학습, 문화, 소통 이루어지는 복합문화플랫폼의 공간으로 청소년들이 도서관을 이용함에 있어 독서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하는 미래형 도서공간을 기획한다.
CONCEPT & KEYWORD
Library 5.0
협업과 다이나믹한 공간
포용적 개방공간
몰링형 공간
슬기로운 공간
지식 스페이스 클라우드 플랫폼 공간
교류협력의 플랫폼 공간
조용히 책을 읽고 공부하는 정적인 장소의 개념을 지양하고 개개인의 다양한 정보 요구와 특성, 재능 내지는 가치와 문화가 만나 상호작용하는 장소로서 제공한다.
F.ICBM
IOT 적용을 통한 디지털 기능
VR +AR Cloud 공간
Mobile 중심의 공간코디
이용자가 실생활에서 생성하는 모든 데이터가 끊김없이 연결되어 사회적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ICBM 기술을 제공한다.
Play -Study Space
공감적 공유공간
디지털 + 아날로그 연결공간
Teacher in the Library Space
이용자들이 창작 활동과 상상력을 발전 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학습과 놀이가 공존하는 문화 체험적 공간으로서 제공한다.
Design Thinking
Co - Working Space
Creative Knowledge Space
특화서비스를 살린 공간
실질적 지원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지식을 창출하고 경험하는 공간으로서 제공한다.
PLANING
1F PLAN
_ SCALE : N.S
ELEVATION
_ SCALE : N.S
2F PLAN
_ SCALE : N.S
ELEVATION
_ SCALE : N.S
3F PLAN
_ SCALE : N.S
ELEVATION
_ SCALE : 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