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정확한 주행으로 운전자의 실수 혹은 졸음운전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과 운전자의 능력이나 신체적 한계 등에 구애받지 않는 편리성 보장, 인공지능에 탑재된 길찾기 기능과 실시간 교통상황 분석으로 교통사고나 체증이 없는 빠르고 편리한 길로 이동할 수 있는 경제성으로 자율주행 자동차의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TARGET
MAIN - 운전에 어려움을 겪는 65세 이상 고령층
노년층에게 자율주행 자동차를 알리고 또 활성화시켜 도움을 줄 수 있다.
SUB1 - 신체적 한계 탓에 자율주행자동차 이용이 필요한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받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자율주행자동차가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SUB2 - 사고 등으로 인해 신체적 제한이 생겨 불편을 겪는 일반인
신체적 제한이 생겨 갑작스레 이동을 통제받게 된 일반인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WITH - 미래세대 운전자, 일반인 등
SITE
위치 :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 일대
국가 사업과 어울어지며 공공적 이익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기장군에 자율주행자동차 체험 전시공간이자 운전교육을 하는 시설을 만들고자 한다.
SPACE PROGRAM
당신의 미래에 동행할: 자율주행 자동차 (전시영역)
낯선 자율주행 자동차? 앞선 자율주행 자동차?
우리도 운전할 수 있어요
안전하고 편리하게, 당신과 함께.
특수차량 브랜드 전시공간
타보자고! 가보자고! 해보자고! (체험영역)
타보자고! (탑승 체험관)
가보자고! (주행 체험관)
해보자고! (장애인 특화 운전체험공간)
그대와 동행 (교육영역)
자율주행 면허 교육실
장애인 특화 모의시험장
장애 운전자 상담실
강사대기실
로비 겸 휴게공간
커뮤니티 라운지
로비
라운지
인포메이션 센터
CONCEPT & KEYWORD
"Limitless"
: 한계 없는 완전한 '공공성' 그리고 경험으로 마주하는 미래
모든 공간을 장애 혹은 노화로 인한 한계가 없도록, 모두가 누릴 수 있을 미래를 마주한다.
Design for ALL
노년층과 장애인 그리고 비장애인 모두가 경계를 느끼지 않는 모두를 위한 디자인으로 한계 없을 미래를 체감할 수 있게 한다.
Self Navigation
외부인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길을 찾으며 공간을 누릴 수 있도록 하여 안내를 따라가는 것이 아닌 시각 장애인의 자기 결정권 존중에 힘을 더한다.
Future Review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공간에 투영시켜 매일 하루하루 가까워질 미래를 시각적으로, 분위기로 나타낸다.
Sensory Ewperience
여러 감각들을 이용하여 체험하고 느낄 수 있도록하여 더욱 실감나는 미래형 전시공간을 계획한다.
PLANING
1F PLAN_SCALE : N.S
PERSPECTIVE _체험존과 특화차량존, 브랜드 부스관
자율주행 자동차 체험전시관의 전시공간 중 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체험존과 특화 차량존 그리고 브랜드 부스가 담긴 모습이다. 체험존에 높인 세 종류의 차량은 실제 자율주행 자동차 모델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한 대는 부착된 스크린으로 실제 차량을 주행하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다.
PERSPECTIVE _낯선 자율주행 자동차? 앞선 자율주행 자동차!
전시관에 입장하면 가장 먼저 전개되는 전시이다. 배치된 키오스크를 통해 드라마나 영화 등에 등장한 자율주행 자동차와 실제 운영 사례 또한 소개하여 보편화 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떄 사용되는 키오스큰큰 듀얼 스크린 키오스크로 휠체어 이용갱의 눈높이에서도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다.
PERSPECTIVE _안전하고 편리하게, 당신과 함께
자율주행 자동차에 사용되는 안전장치들과 안전 관련 부품을 전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스크린에서는 안전장치 유무에 따른 주행 시 차이 영상을 보여주며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성에 대한 믿음감을 제공한다.
PERSPECTIVE _교육공간 앞에 위치한 기념품 샵
전시 관련 굿즈나 일상에서 사용하기 좋은 장애우 관련 물품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기념품 가게이다. 전시관과 로비부터 교육공간까지 이어지는 길목에 있기에 전체적으로 둥근 이미지를 부여하여 전체 구역과 통일감을 부여했다.
PERSPECTIVE _커뮤니티 라운지
교육공간 이용자들과 강사진들이 강의시간 전후로 휴식을 취하거나 소통을 할 수 있는 커뮤니티 라운지이다. 인포메이션 센터와 가깝게 배치하여 안내가 쉽게 하였고 카운터는 로비와 같이 단차를 두어 휠체어 이용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다른공간들과 마찬가지로 곡선의 이미지를 전체적으롭 부여했고 평면의 모양에 따른 천장의 구성으로 깔끔함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