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아동환경에는 단발적인 시설 개선, 기능 위주의 디자인, 기존의 단일화 및 표준화된 설계지침 등의 이슈가 있다. 이러한 근대화의 패러다임에 갇힌 교육공간을 개선하고 아이들에게 꿈꾸며 학습할 기회를 제공한다.
TARGET
1~2학년인 저학년의 경우와 상위 학년의 경우를 구분하여 공간 디자인 전략에 접근한다.
SITE
디지털•언택트•펜데믹 교육의 시대에 따라가지 못하는 교육 시설과
가구, 표준화되고 일방향적이어서 답답함과 삭막함을 유발하는
ㄱ자형 평면 형태 등을 가진 동명초등학교의 공간을 리모델링한다.
SPACE PROGRAM
미래학교 공간 구성 중 실질적 교육 공간의 체험의 영역에 있는 학습 공간과 커뮤니티 공간을 설계한다. 기존 동명초등학교에 있었던 공간은 더욱 쾌적하고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더한 공간으로 재탄생 시키고, 점점 줄어드는 학생 수로 인해 발생한 유휴공간은 미래지향적 교육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CONCEPT
글로벌 시대의 창의적 감성 공간을 비전으로 하여,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창의•인성 교육 공간플랫폼의 구축을 목표로 삼아 컨셉을 전개한다.
PLANING
1F PLAN
저학년 케어 공간, 다양한 체험 및 커뮤니티 공간 또는 지역사회 개방 공간은 접근성 면에서 유리하도록 1층에 조닝하였다.
또한 야외 녹지 공간과의 연계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삭막한 교실 창보다 넓어진 통창 또는 폴딩도어를 채택하였다.
4F PLAN
상대적으로 인접 교실과의 연계가 필요한 공간이나 차음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은 4층에 조닝하고 또 인접시켜 공간 효율을 높였다.